카테고리 없음

화장품 속 미세플라스틱, 무엇을 바르고 있는 걸까?

장수리빙 2025. 4. 17. 13:16

 

🧴 화장품 속 미세플라스틱, 무엇을 바르고 있는 걸까?

– 성분 분석부터 대체 브랜드, 실천 팁까지 총정리


최근 ‘클린 뷰티’와 ‘제로 플라스틱’이라는 키워드가 소비 트렌드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엔 바로 **‘화장품 속 미세플라스틱’**이라는 이슈가 자리하고 있죠.

우리는 매일 세안제, 스크럽, 클렌징 제품 등을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입자들은 세안 후 하수구를 지나 바다로 흘러가고, 결국 인간과 생태계에 다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음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 미세플라스틱이란 무엇인가?
✅ 어떤 화장품에 많이 포함되는가?
✅ 성분표에서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가?
✅ 미세플라스틱 없는 대체 브랜드는?
✅ 실천 가능한 뷰티 루틴은?


🔬 미세플라스틱이란?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은 크기가 5mm 이하인 미세한 플라스틱 입자입니다.
이 중에서도 의도적으로 화장품에 첨가된 경우, 이를 **‘마이크로비즈(Microbeads)’**라고 합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됩니다:

  • 스크럽제 역할 (각질 제거)
  • 질감 개선
  • 점도 조절
  • 광택감 부여

하지만 이 성분들은 생분해되지 않으며, 하수처리 시설을 통과해 바다로 유입되는 환경 오염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어떤 화장품에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을까?

다음과 같은 제품군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제품군 사용 목적 포함 가능 성분

페이스/바디 스크럽 각질 제거 Polyethylene, Nylon-12
클렌징젤 질감 향상 Acrylates Copolymer
프라이머/베이스 부드러운 발림성 PMMA
치약 마찰력 부여 Polypropylene

👉 특히 입자가 반짝이거나 오돌토돌한 제품, 또는 자연스러운 스크럽 효과를 강조한 제품은 성분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 성분표에서 확인해야 할 주요 성분 리스트

성분명 설명 위험도

Polyethylene (PE) 가장 흔한 미세플라스틱 스크럽 ★★★★★
Polypropylene (PP) 점도 조절 및 필러 역할 ★★★★☆
PMM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발림성, 광택 ★★★★☆
Nylon-12 보습제 겸 입자 ★★★☆☆
Acrylates Copolymer 점도 조절 ★★★☆☆

🔎 성분 분석 툴 추천:


🧴 미세플라스틱 프리 클린 뷰티 브랜드 추천

브랜드 특징 가격대 인증

멜릭서(Melixir) 비건 인증, 제로 플라스틱 패키징 중간 비건, 저자극
아로마티카(Aromatica) 리필스테이션 운영 중간 클린, 비건
디어달리아(Dear Dahlia) 고급 비건 메이크업 브랜드 중상 PETA, 비건
라운드랩(Round Lab) 자연 유래, 민감성 피부 추천 중간 EWG, 저자극
스킨푸드 제로라인 플라스틱 줄이기 시도 저가 일부 제품

🛠 플라스틱 프리 뷰티 루틴 실천법

  1. 고체 비누형 클렌저 사용
  2. 스크럽은 천연 성분(커피가루, 오트밀 등) 사용
  3. 제품 구매 시 성분표 확인 필수
  4. 리필 가능한 패키지 제품 우선 구매
  5. 리뷰가 많은 클린 브랜드 중심으로 탐색

💡 참고: 유럽연합은 2027년부터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화장품 판매를 전면 금지할 예정입니다.


💬 Q&A – 독자가 자주 묻는 질문

Q1. 화장품 속 미세플라스틱은 피부에 바로 해로운가요?
A. 피부 자극 가능성은 낮지만, 마찰로 인해 민감성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장기적으로 환경 오염으로 인한 역유입 위험이 있습니다.

Q2. 성분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A. Polyethylene(PE), PMMA, Nylon, Acrylates Copolymer 등의 INCI 성분명을 기억해두세요.
성분 분석 앱 사용도 효과적입니다.

Q3. EWG 그린 등급이면 미세플라스틱이 없는 건가요?
A. 아닙니다. EWG 등급은 피부 자극 중심 기준이기 때문에, 환경 유해성까지 반영되진 않습니다. 반드시 성분표를 별도 확인해야 합니다.

Q4. 국내 규제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A. 현재는 자율 규제 중심이지만, 환경부는 2024년 이후 단계적 규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EU는 2027년부터 완전 금지 예정입니다.

Q5. 플라스틱 프리 화장품은 가격이 비싸지 않나요?
A. 고급 브랜드도 있지만, 아로마티카, 멜릭서, 스킨푸드 제로라인처럼 중저가 브랜드도 충분히 있습니다. 리필형 제품은 오히려 더 경제적입니다.


✅ 결론

매일 바르는 제품 하나가 바다에 미치는 영향은 작지 않습니다.

지금 당장은 모든 화장품을 바꾸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성분을 읽고, 브랜드의 철학을 확인하고, 나와 지구 모두를 위한 선택을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클린 뷰티’입니다.


🏷 태그

#미세플라스틱화장품 #클린뷰티 #플라스틱프리 #화장품성분분석 #마이크로비즈 #제로웨이스트뷰티 #EWG화장품 #비건뷰티브랜드 #환경을생각하는소비 #티스토리블로그추천